1. 프로젝트 세팅입니다.
인텔리제이에서 New Project를 클릭해줍니다.
2. 프로젝트 설정입니다.
Type은 Gradle - Groovy로 해주시고 JDK, Java는 11버전으로 해줍니다.
Type 3개의 차이
Gradle, Maven는 빌드 도구입니다. java코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기위한 도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Maven과 Gradle
[Maven 특징]
- Apache Ant 대안으로 만들어진 Apache 라이센스로 배포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
- 자바용 프로젝트 관리 도구
- xml을 이용한 빌드 시스템
- 직접 연결한 라이브러리들과 라이브러리들이 엮여있는 다른 라이브러리들까지 연동되어 관리
[Gradle 특징]
- 오픈소스 기반의 빌드 자동화 시스템
- JVM 기반의 빌드도구로 기존의 Ant, Maven을 보완
- Android OS의 빌드 도구로 채택
- Maven을 사용할 수 있는 변환 기능 컨벤션 프레임워크
- Maven과 Ivy 레파지토리 지원
- 멀티 프로젝트의 빌드를 지원하기 위해 설계
- Groovy, Kotlin 문법 사용
Maven이 먼저나온 만큼 아직까지 사용하는 곳이 많긴하나 Gradle이 나온지도 10년이 되었습니다. (2022 기준)
둘다 사용해본 개인적인 생각으로는
Gradle을 선택하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하고,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.
- xml로 관리되는 메이븐에 비해 짧고 간결한 문법
- Java 용인 Maven에 비해 C/C++ 등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가능한 범용성
- 최소 2배에서 빌드 캐시를 사용하는 대규모 빌드의 경우 100배 정도의 성능차이 (링크)
<참조> https://kdhyo98.tistory.com/87
다음으로 넘기면 Dependencies설정이 있습니다.
다음 4개의 dependencies를 추가해줍니다 (Spring Boot 버전은 2.X.X)
다음과 같이 생겼으면 Spring 프로젝트 생성 완료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Spring을 Docker, Docker-compose로 띄우기 (0) | 2023.01.09 |
---|---|
[Spring] Spring todolist 스키마, API문서 작성 (0) | 2023.01.04 |
[Spring] Spring TodoList 만들기 (0) | 2023.01.03 |
댓글